본문 바로가기

천연원석 암석 탐구 - Stone Story75

화산의 위엄! 유문암 수석 암석표본 관찰 탐구 (2) 흔히 꽃돌로 많이 알려진 유문암은 특유의 아름다운 무늬가 인상적입니다. 유문암의 독특한 무늬는 어떻게 형성된 것일까요? 바로 유문암의 특징인 유동구조 때문입니다. 격렬했던 화산 폭발의 위엄이랄까요. 아무튼, 용암 분출과 그 흐름의 산물입니다. 유문암(流紋岩, Rhyolite)의 Rhyolite라는 이름은 용암의 흐름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ῥύαξ(Rhýax)로 부터 유래했습니다. 그리스어로 흐른다는 뜻의 단어 'ρέιν'와 돌을 뜻하는 'λιθος'가 합쳐진 말입니다. 암석에 용암이 흐른 흔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유문암(流紋岩, Rhyolite)은 화성암 중 규장질 성분을 지닌 화산암입니다. 한자 유문(流紋)은 '흐를 유', '무늬 문' 입니다. 화산 분출.. 2025. 3. 28.
옛날 민속품 골동품 '맷돌' 현무암 표본 관찰 탐구 석기시대 때 여인들이 부족들과 전쟁통에도 꼭 챙겼다는 이것? 무엇일까요? 바로 '맷돌' 입니다. 맷돌은 음식을 만들 때 중요하게 쓰이는 도구로써 생명과 직결된 생필품이었기 때문입니다. 옛날 맷돌은 외갓집 감성이 풍기는 정겨운 민속 소품입니다. 고향의 향수, 볼수록 포근함을 느끼게 합니다 맷돌로 만든 생두부가 생각나기도 하고 심지어 부드럽고 달달한 입맛까지 감돌게 합니다. '맷돌(Millstone 밀스톤)'은 곡물 등을 갈기 위해 사용하는 납작하고 둥근 모양의 돌을 말합니다. 근래에는 단단한 화강암이 맷돌 제작 재료로 많이 사용됐지만 석기시대 맷돌의 원류는 좀 더 제작이 쉬운 현무암이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인류 초기의 맷돌들을 조사해 보면 현무암 재질이 많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표면이 다소 부.. 2025. 3. 25.
셰일(Shale) 암석표본 천연원석 관찰 탐구 (2) "암말 말어~ 나이는 못 속여!" 퇴적암 '셰일(Shale)'의 특징인 '층리(Bedding)'는 그가 살아온 질퍽했던 사연들로 점철된 자연 생태 환경과 감출 수도, 숨길 수도 없는 그의 나이를 잘 말해주는 듯 합니다. 셰일은 아름다운 층리 무늬로 관심을 받아왔던 암석이었지만 근래에는 세계 3대 에너지 자원을 보유한 퇴적암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바로 '셰일 가스(Shale Gas)'을 말하는 것입니다. 석유, 천연가스와 함께 대표적인 세계 3대 에너지 자원입니다. 석유를 품은 셰일을 '오일 셰일(Oil Shale)'이라고 부릅니다. 셰일 가스는 퇴적암인 셰일이 형성하는 지층에 포함되어 있는 천연가스나 석유를 말합니다. 퇴적물이 탄화물을 많이 함유하면 석유, 천연가스 등을 생성하게 됩니다. 세계적.. 2025. 3. 24.
감잎 같은 사랑 '페리도트(감람석) 셀레나이트 보석' 천연원석 관찰 탐구 페리도트(Peridot)는 달빛에도 빛을 발합니다. 셀레나이트(Selenite)의 반짝임은 얼마나 찬란합니까. 감잎 같은 그린과 백옥 같은 화이트의 매혹적인 하모니 내일을 꿈꾸는 생동감은 미래에도 가치가 더욱 빛날 것입니다. 페리도트는 행복과 화합을 의미하며 부부와 연인들에게 사랑을 받아 온 보석입니다. 간혹 우주에서 지구로 떨어지는 운석에서도 페리도트가 발견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우주의 신비가 담긴 보석이라고도 합니다. 우주의 한켠에는 생명을 불어넣는 기운이 있습니다.이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깊은 곳에도 있습니다.우리는 지금 바로 그것, 페리도트를 보고 있습니다.땅 속 깊은, 그 뜨거웠던 마그마 방에서 탄생한 페리도트가마침내 우주를 향해 빛을 드러내며연두빛 감잎 같은 사랑을 전하는 시간입니다.태.. 2025. 3. 23.
자석에 달라붙는 자철석 표본 천연원석 실험 탐구 (2) 자석에 달라붙는 자철석(磁鐵石, Magnetite 마그너타이트)은 지구 존재의 경이로운 신비가 아닐 수 없습니다. 철(Fe) 성분이 함유된 암석 자철석을 통해서 우리는 지구 생명체 근원의 한 핵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지구 자기장의 존재에 접근하게 됩니다. 자철석의 가장 큰 특징은 자성을 띤다는 것입니다. 자연상태로 발견되었을 때 그 어떤 광물보다 자성을 갖는 비율이 높습니다. 주로 화성암과 변성암에서 작은 가루의 자철석들이 발견되곤 하는데요. 자철석의 철 성분들은 지구 자기장과 맞춰서 배열되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암석이 형성되던 당시의 지구자기장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고대인들은 자철석이 철을 끌어당기는 힘이 있다는 것과 지구도 자철석을 끌어당긴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방향을 알아내는 나침반을 발명해냈습니다.. 2025. 3. 15.
자기유사성 프랙탈 '덴드라이트' 암석표본 천연원석 관찰 탐구 '덴드라이트 락(Dendrite Rock)'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프랙탈(Fractal)의 한 종류로써 셰일 · 석회암 등의 광물이나 암석에 수지형(樹枝形)으로 부착되어 마치 양치식물(羊齒植物, Pteridophytes, 고사리 이끼 등)의 화석처럼 보입니다. 언뜻 화석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닙니다. 모수석(模樹石, 나무 문양 돌)이라고도 합니다. 위화석(僞化石, Pseudofossil)의 하나입니다. 위화석은 화석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화석이 아닌 것을 말합니다. '덴드라이트(Dendrite)'라는 명칭 용어는 '나무'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dendron(덴드론)'에서 유래되었습니다. 'dendron'은 '나무'를 의미하며 dendrite는 가지처럼 분지되는 형상을 가리킵니다. 덴드라이트는 나뭇가지 모.. 2025. 3. 14.
한국인이 꼽는 명석 '오석' 표본 천연원석 관찰 탐구 오석의 암석학적 명칭은 국제적, 학술적, 공식적으로 정해진 바는 없으나일반적으로 '오석(烏石, Black Sandstone, 黑色 沙巖 흑색의 사암)'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암석 분류상으로 보자면 퇴적암(堆積岩 Sedimentary Rock)의 일종으로'사암(Sandstone)'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인이 꼽는 또 하나의 명석으로 '오석(烏石)'을 들 수 있습니다. 까마귀 털처럼 빛깔이 검고 윤기가 난다고 해서 '까마귀 오(烏)+돌 석(石)' 자를 써서 '오석(烏石)'이라 합니다. 이처럼 명칭의 유래는 암석 색깔 특징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됩니다.특별히, 충남 보령에서 산출되는 '보령 오석'은 신라시대부터 최고급 비석과 벼루용 빗돌로 널리 알려져 왔습니다. 중국에서도 보령 오석을 최고로 쳤을 .. 2025. 3. 13.
역암 암석표본 천연원석 관찰 탐구 '기저 역암', '부정합면' 등은 호기심을 자극하는 흥미로운 용어들인데요. 과학 수업 시간에 퇴적암 역암을 배울 때 나오죠. 역암은 자갈이 쌓여 만들어진 퇴적암입니다. 물이나 빙하에 의해 퇴적된 자갈들이 압력을 받아 굳어질 때 형성됩니다. 역암은 퇴적암에 주로 나타나지만 전체 퇴적암의 1% 미만입니다. 우리나라의 퇴적암들은 대부분 사암이나 셰일로 구성되어 있어서 역암 분포 지역이 의외로 적고 그만큼 흔하지도 않습니다. 역암(礫岩, Conglomerate)의 '역(礫)'은 '조약돌 력'이라는 한자로, '조약돌'을 뜻합니다. 뜻을 나타내는 石(돌 석)과 소리를 나타내는 樂(즐길 락)이 합쳐진 형성문자입니다. Conglomerate는 역암 이외에도 집합체, 복합체, 대기업, 복합 기업 등의 뜻을 가진 단어입니.. 2025. 3. 11.
'화산 각력암'의 위엄! 암석표본 천연원석 탐구 각력암(角礫岩, Breccia 브레시아)라는 영어 이름인 Breccia는 이탈리아어로 '부서진 돌', '파편', '잔해'라는 뜻의 Brecce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각력암은 고생대 지각 활동, 화산, 단층 및 기타 지질 현상으로 생성됩니다. 각력암은 종종 지각 활동이 활발한 지역에서 발견되며 크고 불규칙한 각진 암석 조각들이 서로 결합된 다양한 광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눈에 띄는 독특하고 아름다운 외관 때문에 고급 건축자재에 속하고 암석 수집가들 사이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기도 합니다. 탐구할 암석표본은 화산 각력암(Volcanic Breccia) 천연원석입니다. 표본 사이즈는 크기 17.3 X 12.1 X 23.8cm, 무게 3,691g 입니다. 암적색 부분은 용암이 굳은 현무암(玄武岩, Basalt)질.. 2025. 3. 8.
영국 산업혁명 디딤돌 '점판암(슬레이트)' 암석표본 천연원석 탐구 우리가 흔히 말하는 '슬레이트'가 바로 '점판암(粘板巖 Slate 슬레이트)' 입니다. 점판암 즉, 슬레이트는 주로 주택 지붕, 바닥재 등 건축자재로 많이 쓰였기 때문에 친숙한 암석입니다. 점판암은 특별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18세기 영국 산업혁명의 근간이 된 웨일스(Wales) 점판암 광산은 세계적으로도 유명합니다. 18세기 영국에서는 주택 지붕이나 바닥재 등 건축자재로 점판암 수요가 대단했습니다. 점판암 광산은 석탄 및 철광 광산과 더불어 채굴한 광물들의 대량 운송 수단인 증기기관차를 상용화하도록 촉진함으로써 영국 산업혁명의 디딤돌이 됩니다.(관련 역사는 포스트 아래 부분에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탐구할 점판암 표본 사이즈는 크기 26.0 X 15.4 X 4.6cm, 무게 2,.. 2025. 3. 6.
천매암(변성암) 암석표본 천연원석 탐구 천매암(변성암) 암석표본 천연원석천매암(千枚岩, Phyllite 필라이트)이라는 이름은 '잎'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Phyllon(필론)'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천매암은 문자 그대로 얇은 잎 천장이 포개진것처럼 보인다는 의미입니다(엽리). 과거에는 천매암을 '윤이 나는 편암(Lustrous Schist)'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윤이 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바로 비단처럼 빛나는 '견운모(비단운모)' 때문입니다. 천매암은 점판암이 변성작용을 받아 생성되는 변성암으로 변성 정도는 점판암(Slate 슬레이트)와 편암 사이 단계에 있습니다. 천매암은 운모, 견운모(絹雲母 Sericite 세리사이트. 납작한 비늘 모양, 부드러운 광택. 비단운모)와 녹니석(연녹색 덩어리 모양), 석영 등으로 구성되며 녹색편암상.. 2025. 3. 5.
이암(점토암) 암석표본 천연원석 탐구 이암(점토암)은 우리에게 고향생각나게 할 만큼 친숙한 암석입니다. 돌의 기본이라 할 수 있을 만큼 초딩들도 잘 알고 있습니다. 엄마 아빠가 "흙이 굳어서 돌이 된 거야"하고 가르쳐 주면 아이도 알겠다는 듯이 금방 고개를 끄덕입니다. 이암은 퇴적암으로써 지질 변화의 역사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지구과학에서도 중요하게 다루는 암석입니다. 이암(泥岩, Mudstone)은 주로 점토로 이루어진 세립질의 퇴적암으로 점토암(粘土岩) · 실트암(Siltstone)· 셰일(Shale 이판암 頁岩 혈암 엽암) 그리고 규질 점토암(Argillite) 등의 세립쇄설암(細粒碎屑岩)의 총칭입니다. 쇄설성 퇴적암 중에서 입자가 1/16mm(0.0625mm) 보다 작은 세립질의 실트와 점토로 구성된 것을 이암이라 합니다. 이암은.. 2025. 3. 4.
용암 유동구조 유문암 천연원석 암석표본 탐구 유문암(流紋岩, Rhyolite)의 영문 'Rhyolite'라는 이름은 용암의 흐름을 의미하는고대 그리스어 ῥύαξ(Rhýax)로 부터 유래했습니다.그리스어로 흐른다는 뜻의 단어 'ρέιν'와 돌을 뜻하는 'λιθος'가 합쳐진 말입니다.암석에 용암이 흐른 흔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유문암은 화성암 중 규장질 성분을 지닌 화산암입니다. 석기시대 때 돌도끼, 돌칼, 화살촉 등을 만드는 데 활용됐습니다. 한자 유문(流紋)은 '흐를 유', '무늬 문' 입니다. 화산 분출 때 용암이 산사면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굳어서 암석이 될 때 용암이 흐르는 형태의 무늬가 나타나는데요. 흐르는 형태의 띠 무늬, 그물이나 미로 형태 무늬 등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이를 '유동 구조(Fl.. 2025. 3. 2.
화산재 용결 응회암 천연원석 암석표본 탐구 응회암(凝灰巖, Tuff)은 화산재가 쌓여서 굳어져 만들어진 퇴적암(화산 분진 및 쇄설성 퇴적물)의 일종입니다. 화산재가 화산 분출 당시의 뜨거운 열로 인해서 여러 광물들이 용융 및 결합되어 생성되므로 '용결응회암(熔結凝灰岩, Welded Tuff)'이라고도 합니다. 이때 가스상 광물질은 빠져나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다공질(홈 구멍 분포)이 특징입니다. 화산재와 기타 퇴적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표면은 상대적으로 부드럽습니다. 탐구할 응회암 표본 사이즈는 크기 22.0 X 17.5 X 6.0cm, 무게 2,726g 입니다. 얼핏 보면 검정색으로 보이는데요.실재로는 암녹색입니다. 돋보기(X30배율)로 관찰해 보면 석영, 녹니석, 휘석 광물질이 풍부한 암녹색입니다. 주요 구성 광물로는 석영, 녹니석, 장석,.. 2025. 3. 1.
희귀 현무암 천연원석 암석표본 탐구 (2) 하얀 띠 무늬가 무수히 박힌 현무암 보셨나요?검붉은색의 무뚝뚝한 다공질 현무암은 많이 봤어도이렇게 색다른 암석 결정들이 박힌 현무암은 희귀합니다.정말 아름다운 현무암 표본입니다! '현무암(玄武岩, Basalt)'이란 이름은 매우 단단한 돌을 뜻하는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습니다.현무암은 우리나라 사람이 가장 잘 아는 암석 중의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제주도 화산의 상징이 되버린 현무암 '돌하르방(돌 할아버지)' 조각상 때문이기도 하고표면에 구멍이 송송 나 있는 다공질의 생김새가 인상적이기 때문입니다.  탐구할 현무암 표본 사이즈는 크기 17.3 X 10.0 X 9.1cm, 무게 2,326g 입니다. 표면에 하얗게 보이는 조그만 알맹이 암석 결정들은 석영(SiO2) 입니다. 그리고 하얗게 작은 띠 무늬들은 .. 2025. 2. 26.
한국적인 혼펠스 천연원석 암석표본 탐구 (2) 한국인의 고갱이 정서가 잘 표현된 이색적인 혼펠스(Hornfels) 암석표본 천연원석 입니다. 흙색과 검정색이 묘하게 깊이 있는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자연에 순응하고 흙과 땅을 사랑하며 살아가는, 동시에 근면 성실한 한국인의 정서를 느끼게 합니다. 특히, 다양한 형상의 검정색 결정들은 한편으로 미학적입니다. 삶의 우여곡절, 여러 단면들을 연상하게 하는 것 같습니다. 흙색 바탕에 검정색이 주는 무게감은 인생의 무게인 듯 싶습니다. 무언의 의미를 담은 동양화 한 폭을 보는 느낌입니다. 보기만 해도 자연 힐링이 되는 혼펠스 천연원석입니다. 혼펠스 표본 사이즈는 크기 11.3 X 9.5 X 6.2cm, 무게 971g 입니다. 혼펠스가 변성 이전에는 퇴적암(이암, 점토암)이었기 때문에 석영, 장석, 운모 등의.. 2025. 2. 25.
이색적인 혼펠스 천연원석 암석표본 탐구 소개하는 혼펠스(Hornfels) 암석표본 천연원석은 파스텔 톤의 녹색과 흰색이 어우러진 컬러 조화가 인상적입니다. 밝고 포근하고 화사한 느낌까지 주면서  이색적인 아름다움을 선사합니다. 어떻게 보면 함박눈이 내리는 것 같기도 하고 혹은 눈이 쌓인 계곡 같기도 하고 다채로운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는 형이상학적 무늬가 아름답습니다. 교실 칠판에 누군가가 분필로 무의미한 그림들을 그려 놓은 듯한 학창시절 추억을 연상시키기도 합니다. 노스탤지어(Nostalgia)의 감성과 창의적 영감을 자극하는 것 같습니다. 태고적 자연 그대로의 신비함과 아름다움이 온전히 담겨있는 보기만 해도 자연 힐링이 되는 혼펠스 천연원석입니다. 혼펠스 표본 사이즈는 크기 13.2 X 9.0 X 6.0cm, 무게 1,047g 입니다... 2025. 2. 24.
한국인이 꼽는 명석 호피석 암석표본 탐구 호피석(虎皮石)이란 호랑이의 가죽 무늬가 박힌 수석을 말합니다. 호피석은 한국인이 꼽는 명석(名石) 중 하나입니다. 한민족 고갱이의 표상이랄까요. 굳은 심지의 미학적 표현이 특징인 호피석을 보면 한민족의 무게감과 절개를 느끼게 합니다. 탐구할 호피석은 일생일석(一生一石)의 명석(名石)으로 모자람이 없는 호피석의 표본이라 할 만큼 형상, 문양, 굳기 등 품질이 최상급입니다. 호피석 사이즈는 크기 17.0 X 8.7 X 11.3cm,  무게 2,621g 입니다. 전체적으로 둥근 네모난 형상이 안정감 있는 구도를 보입니다. 크지도 작지도 않은 수석 문양석으로 최적의 사이즈입니다. 열전도율 다이아몬드 감별 테스트기 2에 놓고 찍어봤더니.. 헉~ 빨간불~ 이 정도로 매우 단단하기 때문에 한국인이 호피석에 특별한 .. 2025. 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