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매암(변성암) 암석표본 천연원석
천매암(千枚岩, Phyllite 필라이트)이라는 이름은
'잎'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Phyllon(필론)'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천매암은 문자 그대로 얇은 잎 천장이 포개진것처럼 보인다는 의미입니다(엽리).
과거에는 천매암을 '윤이 나는 편암(Lustrous Schist)'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윤이 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바로 비단처럼 빛나는 '견운모(비단운모)' 때문입니다.
천매암은 점판암이 변성작용을 받아 생성되는 변성암으로
변성 정도는 점판암(Slate 슬레이트)와 편암 사이 단계에 있습니다.
천매암은 운모, 견운모(絹雲母 Sericite 세리사이트. 납작한 비늘 모양, 부드러운 광택. 비단운모)와
녹니석(연녹색 덩어리 모양), 석영 등으로 구성되며
녹색편암상(綠色片岩相)에 속하는 변성암으로 운모로 인해 엽리가 발달해 있습니다.
탐구할 천매암 표본 사이즈는 크기 16.0 X 10.7 X 9.3cm, 무게 1,842g 입니다.
사이즈에 비해서 쇳덩어리 수준으로 매우 무겁습니다.
이 표본은 퇴적암인 첨판암이 변성작용(열과 압력)을 받아
천매암으로 변하는 단계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천매암 표본의 변성 과정을 살펴보면.
· 퇴적암 이암(점토암)·셰일의 광역변성작용(열·압력)
< 이암·셰일 - 점판암(Slate 슬레이트) - 천매암 >
육안으로 보일 정도의 크기의 광물 입자가 많고
층리가 잘 발달한 것으로 보아서
이 천매암 표본의 원래 모암은 '셰일-점판암' 이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점판암이 낮은 수준의 광역변성작용(열과 압력)을 받으면
변성암 천매암이 생성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새로운 광물 결정들이 생성되는데요.
주로 운모, 견운모와 녹니석, 석영 등 입니다.
이때 빛나는 견운모가 마치 잎 천장이 포개진것처럼 엽리가 형성됩니다.
그리고 크고 작은 물결 무늬, 골 모양의 피곡이 발달됩니다.
*견운모(백운모): 규산 알루미늄 광물이 변질을 받아 생성된 백색의 세립질 칼륨 운모.
피곡이 발달한 표면에 회색으로 보이는 부분을 돋보기(X30배율)로 자세히 보면
흰색 운모와 연녹색 녹니석 결정이 혼재돼 있음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열과 압력에 의해 원래 모암인 점판암이 약간 용융되었다가 굳은 흔적도 보이는데요.
원래 모암인 점판암에 함유돼 있던 철(Fe) 성분이 용융되었다 굳으면서
결합력을 한층 더 강화시킨 것으로 관찰 분석됩니다.
층리도 잘 발달되어 있습니다.(편리)
군데군데 보이는 갈색 부분은 철(Fe) 성분이 산화된 것입니다.
철(Fe) 성분이 많이 함유돼 있어서 거의 철판 수준으로 단단합니다.








- 천매암(千枚岩, Phyllite 필라이트)
천매암은 퇴적암층이 대륙 판의 충돌과 조산운동으로 인해
적당한 열과 압력을 받는 변성 작용 지역에서 형성됩니다.
점판암과 천매암은 모두 깊이 묻혀 있는 퇴적분지나 섭입대 위의 부착 쐐기에서 형성됩니다.
천매암은 주로 운모, 백운모, 견운모, 장석, 석영 등의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천매암에는 검은색과 아금속 광택을 내기에 충분한 운모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변성 등급: 저등급(점판암보다 높음)
· 변성 환경: 수렴하는 판 경계를 따른 저등급 지역 변성작용
· 변성 정도: 점판암과 편암 사이
· 굳기(모스 경도): 1-2
· 입자 크기: 매우 미세한 입자
· 조직: 잎 모양, 결이 세밀하고 잘 발달된 편암성
· 색상: 색상은 검정색에서 회색 또는 연한 녹색을 띤 회색, 빛나는 회색(Shiny Grey)






참고로, 이암·셰일의 변성암 생성 과정과 단계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 퇴적암 이암(점토암)·셰일 광역변성작용(열·압력) 변성암 단계
· 이암·셰일 - 점판암(Slate 슬레이트) - 천매암 - 편암 - 편마암 - 혼성암(변성암+화성암)
· 이암·셰일 접촉변성작용(열) 변성암 단계
· 이암(점토암)·셰일 - 혼펠스(Hornfels)

우리나라에서 천매암의 분포지역은
금산 · 대전 · 옥천 · 괴산 · 충주일대에 넓게 나타나는 옥천변성대(沃川變成帶)이고
또 하나는 태백산 지역의 율리층군(栗里層群) 입니다.
북아메리카의 애팔래치아 산맥부터 스코틀랜드 고원과
유럽의 알프스 산맥까지 전 세계 곳곳에서 발견됩니다.
천매암은 내구성이 강하고 부드러운 암석입니다.
천매암 용도로는 비석, 기념 명판, 예술 작품, 글쓰기 석판 등이 있습니다.
근래에는 농업용 비료 재료로도 쓰인다고 합니다.
천매암 분말을 과수원이나 채소밭에 뿌려주면
더 튼튼하게 자라고 과일도 튼실해진다고 합니다.
천매암의 원래 모암이 퇴적암 이암(점토암)·셰일이라서
이 부분은 이해가 됩니다.



#천매암 #천매암표본 #천매암원석 #천매암천연원석 #변성암천매암 #퇴적암천매암 #Phyllite #필라이트 #변성암 #퇴적암 #광역변성작용 #접촉변성작용 #점판암 #편암 #편마암 #엽리 #층리 #편리 #이암 #점토암 #셰일 #이판암 #혈암 #엽암 #실트암 #mudstone #shale #점토 #진흙 #실트 #이회암 #원석 #보석 #자연석 #천연원석 #천연암석 #암석 #표본 #암석표본 #광물표본 #취미 #수집 #이색수집 #암석수집 #돌수집 #원석수집 #천연원석수집 #암석종류 #희귀암석 #미네랄 #광물 #광상 #지각 #지질 #지층 #지구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