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연원석 암석 탐구 - Stone Story

역암 암석표본 천연원석 관찰 탐구

by 탐구시대 2025. 3. 11.

'기저 역암', '부정합면' 등은 호기심을 자극하는 흥미로운 용어들인데요.
과학 수업 시간에 퇴적암 역암을 배울 때 나오죠.
역암은 자갈이 쌓여 만들어진 퇴적암입니다.
물이나 빙하에 의해 퇴적된 자갈들이 압력을 받아 굳어질 때 형성됩니다.
역암은 퇴적암에 주로 나타나지만 전체 퇴적암의 1% 미만입니다.
우리나라의 퇴적암들은 대부분 사암이나 셰일로 구성되어 있어서
역암 분포 지역이 의외로 적고 그만큼 흔하지도 않습니다.

역암(礫岩, Conglomerate)의 '역(礫)'은 '조약돌 력'이라는 한자로, '조약돌'을 뜻합니다.
뜻을 나타내는 石(돌 석)과 소리를 나타내는 樂(즐길 락)이 합쳐진 형성문자입니다.
Conglomerate는 역암 이외에도 집합체, 복합체, 대기업, 복합 기업 등의 뜻을 가진 단어입니다.
역암은 자갈과 기질(基質, Matrix 모체 기반)로 구성됩니다.
기질은 역과 역 사이를 채우는 물질로 주로 점토나 모래로 이루어집니다.
자갈(역)보다 기질의 함량이 높을수록 역암은 더욱 안정해집니다.
역암을 구성하는 자갈(역)은 기존에 있던 화성암
또 다른 퇴적암, 변성암 등 모든 암석의 조각이 될 수 있습니다.

관찰 탐구할 암석표본은 역암 천연원석입니다.
표본 사이즈는 크기 23.1 X 9.8 X 11.08cm, 무게 2,782g 입니다.
역암 표본은 역(자갈)들이 서로 접촉하지 않고
기질 내 여기저기 흩어져서 나타나는 형태의 '준역암' 입니다.
표본 역암의 기질은 사암입니다.
기질의 구성은 주로 석영 입자들이 고결되어 형성되었습니다.
돋보기로 보면 장석, 운모, 녹니석 입자들도 두루 관찰 됩니다.
자갈(역)들은 석영, 녹니석, 장석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전체적인 모양은 풍화와 자연 수마로 둥글둥글한 형태입니다.
표면은 다소 까칠까칠해 보이지만 손으로 만져볼 때 느낌은 부드러운 편입니다.
다양한 모양의 자갈들이 만드는 역암층이 부정합면 바로 위에 층으로 생기는
기저 역암(基底礫岩, Basal Conglomerate)으로 관찰 분석됩니다.
자갈들이 각이 지거나 길쭉한 것들이 다수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원마도(摩圓度, Roundness, 둥글기)는 낮은 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역암 암석표본 천연원석 관찰 탐구
역암 암석표본 천연원석 - 1
역암 암석표본 천연원석 - 2
역암 암석표본 천연원석 - 3
역암 암석표본 천연원석 - 4
역암 암석표본 천연원석 - 5
[광고] 희귀 플루오라이트 퍼플 엣지 결정 천연원석
[광고] 번개 맞은 돌 섬전암(섬광석) 표본 천연원석
[광고] 발견 당시 화제됐던 칼사이트 결정 천연원석

 
- 역암(礫岩, Conglomerate)

역암은 쇄설성 퇴적암입니다.
쇄설성 퇴적암은 다른 암석이 풍화작용을 받아 부스러진 암석 알갱이들이
에너지(위치+운동)가 낮은 곳에 쌓여서 생긴 암석이다.
운반작용을 통해 쇄설물이 퇴적된 지층이 압력을 받아 생성된 퇴적암을 말합니다.
쇄설성 퇴적암은 주로 오래된 풍화 및 침식된 암석의 부서진 조각 또는 파편으로 구성된 암석입니다.
쇄설성 퇴적물 또는 퇴적암은 입자 크기, 파편 및 기저 물질(매트릭스) 구성, 질감을 기준으로 분류됩니다.

쇄설성 퇴적암 종류: 역암, 사암, 이암, 셰일, 이회암

보통 쇄설성 퇴적암에서 2mm 이상의 입자가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을 역암이라 합니다.

구성 입자들의 지름 크기에 따른 분류. 
머드 (Mud, 지름 0.053mm 이하) - 사암 (砂岩, Sandstone, 0.064~2mm) - 역암 (2mm 이상)

역암 기질의 양에 따른 분류.
역암 기질의 양이 15% 미만인 것을 '정역암(正礫岩, Orthoconglomerate)'
15% 이상인 것을 '준역암(準礫岩)'이라 합니다.
'정역암'은 자갈(역)들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고
'준역암'은 자갈(역)들이 서로 접촉하지 않고 기질 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상태입니다.

'기저 역암(基底礫岩, Basal Conglomerate)'이란
이미 만들어진 땅의 윗부분이 침식되고
그 위에 다시 땅이 만들어저 생기는 부정합면에 있는 자갈로 이루어진 암석을 말합니다.
기저 역암은 부정합면 바로 위의 지층으로 침강 후 쌓이는 가장 첫 퇴적층입니다.
물질이 퇴적될 때는 무거운 물질들이 바닥에 가라앉고
가벼운 물질들이 위에 쌓이기 때문에
가장 무거운 물질인 자갈들이 만드는 역암층이 부정합면 바로 위에 생기게 됩니다.

역암 암석표본 천연원석 - 6
역암 암석표본 천연원석 - 7
열전도율 테스트. 역암 암석표본 천연원석 - 8
역암 암석표본 천연원석 - 9
역암 암석표본 천연원석 - 10

'원마도(摩圓度, Roundness, 둥글기)'는 입자의 둥근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원마도의 측정은 대체로 역암을 대상으로 합니다.
입자가 원형에 가까우면 원마도가 높고
각이 져 있으면 원마도가 낮다고 표현합니다.
원마도가 높아 둥글한 역이 많으면 원역암으로
원마도가 낮아 각이 진 역이 많으면 각력암으로 구분합니다.
입자가 먼 거리를 이동하면 마모되어 점차 원형에 가까워져 원마도가 높아지는 반면
입자가 1mm보다 작으면 퇴적 과정에서 원마도의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역암 분포 지역을 보면
고생대 조선 누층군 장산 규암층과 중생대 경상 누층군 낙동층,
신라 역암층, 울련산층, 청량산층 및 경정동층의 일부가 역암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강원도 정선군 봉양리 '쥐라기 역암'의 경우에는
노두의 생성시기에 강한 조산운동이 일어났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증거이며
역(자갈)을 이루는 암석의 종류, 역의 모양과 크기 등이 다양하게 관찰됩니다.
강원도 태백시 통리 미인 폭포에도 이런 역암층이 있습니다.
전북 진안군의 마이산은 마이산 역암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역암은 원유와 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류암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요한 암석입니다.
역암은 종종 석유 및 수자원 매장층 바로 위에서 발견됩니다.
역암의 용도는주로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암이나 자갈처럼 건축물과 야외 시설물 재료로 쓰입니다.

[광고] 형석 플루오라이트 다면체 결정 표본 천연원석
[광고] 방해석 칼사이트 결정 표본 천연원석 교육교재용
[광고] 최상급 AAA+ 투명 백수정 결정 천연원석

 

#역암 #역암표본 #역암원석 #역암천연원석 #역암지구과학 #쇄설성퇴적암 #퇴적암역암 #쥐라기역암 #기저역암 #부정합면 #역암기질 #역암원마도 #원마도 #원력암 #각력암 #정역암 #준역암 #퇴적암 #암석기질 #원석 #보석 #자연석 #천연원석 #천연암석 #암석 #표본 #암석표본 #광물표본 #취미 #수집 #이색수집 #암석수집 #돌수집 #원석수집 #천연원석수집 #암석종류 #희귀암석 #미네랄 #광물 #광상 #지각 #지질 #지층 #암석관찰 #지구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