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관련 질환은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는 스트레스이고
일상의 외모, 웰빙과 직결되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피부는 몸속의 수분 조절을 통해 체온을 조절하고
미생물의 침범을 막아 외부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합니다.
피부의 구조를 살펴보면, 표피, 진피, 피하 조직과
관, 신경, 털, 손톱, 분비선 같은 피부의 부속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표피를 구성하는 세포 중 각질 세포의 주요 기능은
표피가 보호 기능을 갖도록 각질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이 각질 세포는 새로운 세포의 생성에 의해
피부 표면으로 올라가면서 탈락됩니다.
진피는 표피의 바로 밑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섬유성 결합 조직으로 되어 있습니다.
진피에는 혈관, 림프관, 신경, 모낭, 땀샘, 피지선 등이 분포되어
표피에 영양을 공급하고 표피층을 지지해 줍니다.
또한 신경이 분포되어 있어서 촉감, 통증, 온도에 반응합니다.
피하 조직은 지방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조직은 열을 보존하고 충격 완충 역할을 하며, 열량을 저장합니다.
이와 같이 피부는 여러 가지 구조로 이루어져
햇빛, 열, 바람, 추위 등 다양한 조건의 외부 환경 속에서
신체를 지키는 역할을 합니다.
피부염은 피부에 생긴 염증을 말합니다.
이는 습진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염증의 원인은 불확실한 경우가 많습니다.
염증의 형태와 양상은 매우 다양합니다.
습진이라고 하면 습한 곳에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지만
습한 부위에 생겨서가 아니라 피부병의 모양이 습하게 보이는 경우가 있어서
습진이라고 부릅니다.
피부에는 분비물을 내보내는 두 가지의 구멍이 있는데요.
하나는 ‘땀구멍’이고 하나는 ‘털구멍’ 입니다.
평소 우리 몸은 하루에 약 600ml의 수분을 땀과 호흡을 통해
밖으로 내보내고 있습니다.
흔히 얼굴에 보이는 미세한 구멍들을 땀구멍이라 부르지만
땀구멍은 아주 작기 때문에 눈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은 털구멍인데 이것을 모공(毛孔)이라 부릅니다.
모공 속에는 피지(皮脂)가 분비되어 나오는 분비관이 있고
언제나 기름이 차 있습니다.
얼굴에서 피지 분비가 가장 많은 코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이 피부의 털구멍과 땀구멍으로 피지나 수분의 배출이 원활하면
건강한 피부가 유지됩니다.
그러나 구멍이 좁아져서 피지나 수분과 함께 빠져나갈 노폐물이나 독소 등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피부 밑에 쌓이면 열독(熱毒)이 올라 ‘가려움증’이 생깁니다.
피부병 가려움증 예방과 치료에 좋은 음식 10가지
1. 쑥
쑥에는 유파틸린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항산화 작용과 소염작용이 뛰어나
피부세포를 보호하고 염증을 제거해주는 작용을 합니다.
쑥은 피부재생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여드름 피부나 번들거리는 지성피부에도 효과가 있어
많은 여성들이 피부미용에 즐겨 사용합니다.
삶은 쑥즙을 화장수로 사용하면 여드름, 습진
햇볕에 탄 얼굴의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며 치료할 수 있습니다.
• 쑥차
목욕을 마친 뒤에 쑥차를 마시면 더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쑥차는 말린 쑥 10g을 500ml의 물에 넣고 약한 불에서
물의 양이 반으로 줄어들때까지 끓여서 마시면 됩니다.
• 쑥 세안법
쑥물로 얼굴을 씻으면 주변 온도 자극에 예민해진 피부를 진정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쑥은 항균. 소염 작용을 하므로 여드름을 가라 앉히는데 효과를 보입니다.
쑥물로 세안하는 방법은
끓는 물에 깨끗이 손질한 쑥을 넣고 은근한 불에서 증발되지 않도록 뚜껑을 덮어줍니다.
뚜껑을 덮은채로 쑥물을 식힌 뒤 처음에는 물에 섞어서 사용하고
점점 익숙해지면 쑥 달인 물로만 세안을 합니다.
• 쑥가루팩
여드름이 심하다면 일주일에 두번 정도 쑥가루팩을 해주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쑥가루에 뜨거운 물을 붓고 저어 뻑뻑하게 흘러내릴 정도가 되면
뚜껑을 덮고 잠시 불에 올렸다가 바로 내려 그대로 식힙니다.
적당히 식으면 밀가루를 조금 섞어
얼굴에 펴 바를 수 있도록 걸쭉하게 만들어
얼굴 전체에 고루 펴 바른 뒤 랩을 씌워줍니다.
15분 정도가 지나면 팩을 떼고
깨끗이 씻어 쑥화장수와 로션으로 마무리 합니다.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쑥은 향기가 독특하고 피부에 좋은 성분이 많습니다.
2. 어성초 (삼백초, 약모빌)
어성초는 삼백초과이며 독이 없고 맛은 맵고 성질은 서늘합니다.
잎에서 생선 비린내가 난다고 해서
‘물고기 어’, ‘버릴 성’을 사용해서 어성초라고 불립니다.
냄새가 지독해 근방에 벌레가 모이지 않을 정도라고 합니다.
어성초는 원래 ‘약모빌’이라는 약초입니다.
예로부터 민간 약재로 잘 알려진 약초입니다.
아토피 피부와 여드름 피부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어성초 효능은 매우 다양합니다.
어성초는 최근 들어 피부에 좋은 풀로 알려지면서 인기가 높아졌습니다.
예전에는 귀한 대접을 받지 못한 어성초가 인기가 높아진 이유는
어성초의 효능 때문인데요.
어성초는 아토피 피부와 여드름 피부 질환에 특효라고 알려졌습니다.
피부의 염증을 잠재우고 피부의 붓기와 가려움을 없애는 효능도 있습니다.
항생제 연고를 대신해 사용하기도 하는 어성초는
해독 기능, 위염, 피부병, 변비 개선 효능도 있습니다.
또한 완전 식품으로 분류되는 달걀보다 단백질 함량이 높은 풀로도 유명합니다.
생즙이나 달인 즙을 화장수 대신 바르거나
또는 세수할 때 비누거품에 조금씩 섞어서 쓰면
피부 트러블도 없어지고 피부도 촉촉해집니다.
보습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건조한 피부, 거친 피부
화장이 잘 받지 않는 피부에 좋습니다.
특히 생즙에서 나는 강한 향기는 살균력이 뛰어나
여드름, 습진, 무좀, 비듬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특히 여드름 염증이 심할 때 어성초 생즙을 바르면 효가가 좋습니다.
어성초는 오래전부터 한방과 민간에서 피부질환 약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습니다.
강인한 생명력과 해독력을 지녀 '천연 항생제'라 불릴 정도로 효과가 좋아서
어성초 화장품, 어성초 샴푸, 어성초 비누 등의 재료로 널리 쓰인다.
어성초에 함유된 쿠에르치트린 성분이 항균 및 소염작용에 영향을 미쳐
피부 잡티 및 여드름 그리고 각종 트러블 개선에 효과 있습니다.
특히 어성초의 뛰어난 염증 제거 효과로 인하여 아토피 및 피부염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어성초의 항염작용으로 몸속의 유해한 여러 염증 및 독소를 몸 밖으로 배출시켜 줍니다.
어성초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쿠에르치트린이라는 성분은 두피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하여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줌으로써 두피 내의 염증 및 노폐물 제거를 좋게 하고
탈모의 증상 완화에도 도움을 줍니다.
어성초는 기본적으로 차가운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몸이 차갑다면 주의해서 섭취해야 합니다.
• 어성초 차
어성초는 잎 가장자리에 붉은빛이 도는 것이 효능이 좋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어성초는 건초와 생초와 건초로 나눌 수 있는데요.
생초는 약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많은 양을 먹지 않도록 주의 해야합니다.
어성초 말린 건초를 차로 끓여 마시면
비린 맛은 거의 없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차로 마시는 것을 선호합니다.
차로 마실 때는 건초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하는데요.
생초를 끓여 마시는 것보다 냄새가 적기 때문입니다.
말린 어성초를 끓이긴 전 불에 한 차례 볶은 후 끓여 내는 것이
더 고소한 맛을 낸다고 합니다.
• 어성초 입욕제
아토피 피부질환 혹은 전신에 걸쳐 피부질환을 앓는 환자나
여드름이 난 이들은 어성초를 입욕제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성초는 매우 강한 항염 효과를 지녀, 피부질환에 특효입니다.
천연 항생제로 불리는 말린 어성초를 가루로 분쇄해 여과지 봉투에 담고
1회 목욕이 가능한 어성초 분말 주머니를 따뜻한 욕조 물에 담가 사용하면 됩니다.
여과지 봉투가 없다면 말린 어성초를 진하게 끓인 물을 욕조 물에 섞어 사용해도 됩니다.
3. 대추나무 잎, 뽕나무 뿌리, 무화과 진액
무좀 특효 민간요법으로 대추나뭇잎 짓찧어 붙이면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대추나무 푸른 잎사귀를 찧어 무좀이 있는 부위에 붙여주는데요.
이렇게 3회 정도 붙이길 반복하면 무좀이 말끔히 사라진다고 합니다.
중국 전통 약학서 '본초강목'에 따르면
대추나무 잎으로 즙을 내어 부스럼에 바르면 좋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또 중국 전통 의학서 '명의별록'에 따르면
땀띠가 있을 때 대추나뭇잎을 갈분과 함께 버무려 문지르면 좋다고 전합니다.
따라서 대추나뭇잎으로 무좀을 치료한다는 것은
민간에서 경험에 의해 체득되어 내려오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무좀은 피부사상균이나 효모균이
손바닥이나 발바닥, 발가락 사이에 침습하여 생기는 피부병입니다.
원인균에 따라 백선증, 칸디다증, 어루러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백선증은 피부사상균이 피부의 가장 바깥층에 감염된 것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써
병변 부위에 따라 머리 백선, 몸백선, 샅 백선, 발백선, 손발톱 백선
얼굴백선, 손 백선등으로 분류합니다.
이 중에서 발 백선을 흔히 무좀이라고 부릅니다.
무좀은 발이 청결하지 못해서라기 보다는
발에 습기가 차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고온다습한 여름철에 발에 통풍이 제대로 되지 않아
습한 상태가 지속되면 무좀이 생길 가능성이 큽니다.
겨우내 잠복했던 무좀이 여름에 더욱 극성을 부리는 것도 같은 이유라고 합니다.
대추나무잎 외에도 예로부터 무좀 치료에 사용된 효과적인 약재로는
뽕나무뿌리, 무화과 등이 있습니다.
뽕나무 뿌리로 치료하는 방법은
뽕나무 뿌리 몇십 년 된 것을 구해 깨끗이 씻은 다음
푹 끓여 까맣게 우러난 물에 발을 담그기를 며칠 반복하면 됩니다.
무화과 나무로 치료하는 방법은
무화과는 줄기에서 잎을 따면 하얀 진액이 나오는데요.
이것을 무좀 환부에 문질러 바르면 됩니다.
4. 느릅나무 뿌리 껍질 (유근피)
느릅나무 뿌리 껍질(유근피)을 벗겨서 입으로 씹어보면 끈적끈적한 점액이 많이 나오는데
이 점액이 갖가지 종기나 종창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느릅나무는 옛날부터 이뇨약이나 종기 치료약으로 써 왔습니다.
느릅나무 뿌리 껍질을 쓰는데요.
이른 봄에 뿌리 껍질을 벗겨 내어 그늘에서 말려서 씁니다.
느릅나무는 고름을 빨아내고 새살을 돋아나게 하는 작용이 강하므로
종기나 종창 치료에 효과가 있습니다.
부스럼이나 종기가 난 부위에
송진과 느릅나무 뿌리껍질을 같은 양씩 넣고
물이 나도록 짓찧어 붙이면 놀라울 만큼 잘 낫는다고 합니다.
느릅나무 뿌리 껍질은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소장궤양, 대장궤양 등
갖가지 궤양에 뛰어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부종이나 수종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부종이 있을 때는
잘게 썬 느릅나무 뿌리 속껍질 40g에 물 1리터쯤을 붓고 달여서
찌꺼기는 짜서 버리고 그 물과 밀가루 떡을 빈 속에 섭취합니다.
느릅나무 뿌리 껍질을 물에 담가 두면 끈적끈적한 진이 많이 생기는데
그 진을 먹거나 피부에 바릅니다.
죽염을 섞어 피부에 바르면 각종 피부질환을 치료하고
피부를 아름답고 매끄럽게 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5. 감자
감자는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어
가벼운 화상이나 습진, 풀독 등으로 피부가 가려울 때
생감자를 갈아서 환부에 붙이면 해독작용을 하고 열기를 진정시킵니다.
감자의 싹에는 솔라닌이라는 독이 있으므로 싹이 난 감자는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6. 수세미
수세미의 뛰어난 이뇨작용으로 인해 체내 유해한
여러 염증 및 노폐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또한 염증이 배출됨에 따라 몸이 붓는 증상을 완화하고
부종을 개선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수세미에 함유된 여러 비타민 성분들과 사포닌 성분이
피부 속 독소 및 노폐물 제거에 도움을 주어
각종 피부트러블을 개선시키는 작용으로
피부의 전반적인 건강 증진에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수세미는 생으로 먹기도 하거나 무침이나 즙으로 섭취합니다.
7. 고구마
고구마에 많이 함유된 비타민A는 피부 손상을 막아주고
몸에서 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해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미국임상영양저널(AJCN) 연구에 따르면 매일 고구마를 섭취한 사람은
피부 보습 능력이 11%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베타카로틴 항산화제가 풍부하여 피부 콜라겐 생성을 돕는 역할도 합니다.
장기능이 떨어져 노폐물이 잘 배출되지 않으면
뾰루지가 생기거나 가려움증의 원인이 됩니다.
고구마는 위와 장을 보호하고 섬유질이 풍부해 배변활동을 촉진하므로
피부질환과 만성 소화불량 변비 등에 고루 사용합니다.
배변활동을 촉진하여 장에 쌓인 독소를 배출해주면서
피부질환과 만성 소화불량 등에 효과적입니다.
고구마는 장기능이 떨어져 노폐물 배출이 잘 되지 않아 생기는 트러블이나
가려움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8. 당근
당근에는 비타민C와 비타민E, 카로틴 등이 들어있어서
활성산소의 활동을 막아 독소를 제거해주는 데 도움을 줍니다.
비타민C는 히스타민을 억제하는 작용으로
가려움증을 완화하는데 좋은 효능을 보입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으면 피부의 저항력이 떨어지는데요.
당근의 베타카로틴은 체내로 흡수되면 비타민 A로 변해
피부와 피부 점막을 건강하게 하고 면역력과 저항력을 높이는 작용을 합니다.
베타카로틴은 당근 껍질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깨끗이 씻어 껍질째 조리해 주면 좋습니다.
9. 매실, 코코넛 오일
아토피성 피부염은 원인물질을 제거하면 상태가 호전되기도 하지만
재발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은 쉽게 낫지 않는데요.
알칼리성 식물인 매실을 꾸준히 섭취하면
피부 가려움증이 완화됩니다.
코코넛 오일은 보습 및 항염 작용이 있어
국소적으로 바르거나 적당히 섭취하면
건조하고 가려운 피부에 도움이 됩니다.
10. 양제근, 생지황
양제근(소리쟁이=소루쟁이 뿌리)은 가려움뿐만 아니라 습진, 무좀, 옴
피부 화농성 질병 및 치조농루증을 비롯한 구강질환에 효능이 있습니다.
살충작용 뿐만 아니라 차고 수렴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어서
출혈 경향이 있는 질병 치료에 쓰입니다.
최근 임상에서 혈소판증가 작용이 있다고 하여
혈소판감소성자반병을 치료할 목적으로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피부질환에 사용할 때는 주로 생즙을 짜서 바릅니다.
생지황은 보음, 보혈하는 대표적인 식품으로써
가려움증으로 인하여 밤에 많이 가렵고 피부가 건조하고
피부에서 비듬이 떨어지는 사람에게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60-80g을 물에 1시간 정도 달여서 1-3회로 나누어 마십니다.
이상으로 피부병, 피부질환, 가려움증의 원인과 증상들을 살펴보고
예방과 치료에 좋은 음식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오염된 환경에 많이 노출되면서
신체의 여러 부위에 다양한 원인과 형태로
피부병, 피부질환, 가려움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개인 위생과 청결도 중요하지만 건강에 좋은 음식을 통한
피부의 면역력 증대의 중요성도 새삼 느끼게 됩니다.
인체 호흡의 95%는 폐(肺)가 하고
나머지 5%는 작은 호흡기라 불리는 피부가 하는데요.
모낭과 땀샘을 열게 되는 것도 폐의 명령 기전에 의해서라고 합니다.
따라서 폐 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이 습진 등의 피부질환을 개선하는
근본적인 방법 중 하나일 수도 있겠습니다.
폐를 강화시키면 피부호흡도 상승하게 되어 기혈순환(氣血循環)이 원활해지면서
습진을 비롯한 각종 피부질환도 감소하기 마련입니다.
그런면에서 평소 생활속에서 폐활량을 강화시키는 '운동습관'과 더불어
건강에 좋은 영양소를 찾아서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식습관'이
탄력있는 피부를 가꾸는 동시에 각종 피부병과 가려움증을 예방할 수 있는
지름길이라는 생각에 이르게 됩니다.
#피부병 #피부질환 #피부가려움 #가려움 #가려움증 #피부조직 #건성피부염 #접촉성피부염 #화폐상피부염 #피부트러블 #피부노화 #노인성피부염 #피부병좋은음식 #가려움증좋은음식 #땀샘 #땀구멍 #털구멍 #모공 #모낭 #아토피성피부염 #가려움증 #어린선 #피부건조 #혈소판감소성자반병 #새집증후군 #피부암 #피부염 #소양증 #피부건조증 #피부보습 #지루성피부염 #옴 #개선충 #기생충 #무좀 #무좀치료 #피부시상균 #곰팡이균 #피부각질 #피부노화 #비듬 #비듬치료 #습진 #습진치료 #피부보습제 #두드러기 #여드름 #뾰루지 #여드름치료 #뾰루지치료 #자외선차단제 #질염 #여성질염 #여성피부병 #사타구니가려움증 #사타구니백선 #백선 #두피백선 #두피가려움증 #쑥효능 #어성초 #어성초효능 #느릅나무껍질 #느릅나무뿌리껍질 #유근피 #느릅나무껍질효능 #양제근 #소리쟁이 #소루쟁이 #생지황 #피부자외선 #아토피 #식습관 #식단 #음식 #건강음식